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개발 상식

버전 표기법 (SemVer) 이번 글에선 버전 표기법에 대해서 알아 볼 생각입니다. 버전의 경우엔 개발자라면 많이 접하게 되는데, 이를 잘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더 훌륭한 개발자로 만드는 방법이라 생각했습니다. 이러한 표기법 자체를 Semver라고 말합니다. (Semantic Versioning Specification) 많은 회사가 이 법칙을 잘 따르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 2가지를 들고와서 살펴보도록 하죠.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 React의 제일 최신 버전과 Django의 제일 최신 버전을 들고 와봤습니다. 2020년 2월 14일 기준으로 제일 최신 Django 버전이 3.0.3이네요. React의 경우엔 16.12.0이고요. .(dot)을 기준으로 3가지 숫자가 존재합니다. 제일 앞에 있는 숫자는 해당 라이브러리의 큰 변화.. 더보기
재귀함수를 쓰는 이유 공부를 하다가 갑자기 무한 루프와 무한 재귀함수의 차이는 무엇인가에 대해서 고민을 해보게 되었습니다. 외국 사이트를 뒤져보다가 해답을 찾았는데 무한 재귀함수는 stack이라는 메모리 공간을 계속해서 이용하기 때문에 메모리의 제한이 있는한 stack overflow가 뜨면서 메모리가 펑! 하고 터져버린다고 합니다. 반복문의 경우엔 메모리를 이런식으로 사용하지 않아서 단지, 프로그램이 종료되지 않을 뿐이죠. 그렇다면 말이죠? 꼬리를 무는 질문이 생겼습니다. 왜 재귀함수를 쓸까요? 따지고보면 반복문보다 좋은 점도 없는데 말이죠. 심지어, 많은 사람들이 재귀함수가 반복문보다 느리다는 것을 이미 다 알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재귀함수를 흥미있게 다루고, 잘 사용하고 있는데, 그 이유를 한 번.. 더보기

반응형
LIST